장지연 연구원과 김정원, 이성주 학생이 BD가 개최한 FACS Camp 에 2박 3일 일정으로 참석하였습니다. FACS 분석의 기초적인 지식에서부터 다중컬러 FACS panel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3일간의 집중적인 교육을 받고 복귀하였습니다.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얻은 지식이니 만큼 각자의 실험에 활용할 뿐 아니라 다른 실험실 구성원의 실험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김희영 박사님이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Impact Factor: 12.6) 저널에 만성신장질환자의 요독 물질, 특히 Indoxyl Sulfate에 의해 유도되는 만성 염증반응 및 심혈관계 동반질환 발생 기전을 trained immunity의 개념으로 확장하여 조망한 리뷰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논문은 기존에 주로 PAMPs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에 의해 유도되는 trained immunity의 보호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던 관점에서 벗어나, DAMPs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및 LAMPs (Lifestyl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등 비감염성 자극원에 의해 유도되는 trained immunity 가 오히려 병리적 염증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기전에 주목하였습니다. 특히 이 리뷰는 김 박사님이 2024년 eLife에 발표한 논문에서 제안한 trained immunity의 양면성, 즉 비감염성 자극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 병인 기전에 대한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이를 만성신장질환과 심혈관계 합병증에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습니다.
최근 trained immunity의 비감염성 질환에서의 역할이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리뷰는 극히 드문 상황에서 발표된 본 논문은, 향후 관련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참고 문헌으로 큰 관심과 인용이 기대됩니다.
교수님이 스페인 시체스에서 개최된 Cell Symposia (Metabolites: Organellar communication in health and disease; 2025.05.11-13)에 참석하셔서 강연준 박사의 Fructose-SLC2A5 관련 내용을 포스터 발표하셨습니다.
교수님이 한경 Bio Insight의 초청을 받아 25년 4월호 '자가면역질환'의 커버스토리, '자가면역 질환은 왜 발생하는가'라는 제목으로 기고하셨습니다. <한경 바이오인사이트>는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제약·바이오 월간 매거진으로 매월 150페이지 분량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최승아 학생이 서울대학교병원 특화연구소의 HMS-SNUH-SNUCM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을 진행하기 위하여 2년 여정으로 미국 연수를 떠났습니다. 본 연구는 하버드대학의 Issac Chiu 교수팀과 함께 "Determining the role of the microbiome in pain and neuroinflammation" 라는 주제로 진행합니다. 최승아 학생은 박사과정학생연구원을 파견(하버드 측 경비지원)되어 신경면역관련 최신실험 기술 및 지견을 배워올 예정입니다.
2025년 4월 6일~10일 일정으로 교수님의 포닥 시절 지도 교수님 이셨던 Jorg J. Goronzy 교수님이 내한하셨고 우리 실험실에도 방문하셔서 학생들과 의미있는 시간을 가지셨습니다. 면역노화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이신 Goronzy 교수님은 Mayo Clinic, Emory 대학, Stanford 대학에서 의과대학 교수 및 류마티스 내과 의사로서 활동하시다가 최근 Mayo Clinic 으로 다시 옮기셔서 연구를 이어가고 계십니다.
서울대학교 호암교수 회관에서 개최된 2025 International Symposium: Aging, Senescence and Immunity (4월 7일)에 초청 연자로 방문하셨지만 우리 실험실에도 방문하셔서 한나절동안 LAI 실험실 투어, 학생과의 식사, LAI 학생과의 개인미팅, 그리고 의과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상대로 IIG 특볅 강연을 진행하셨습니다.
개인미팅에는 강연준 박사, 최승아, 송우림 학생이 최신 연구결과를 결과를 발표하였고 Goronzy 교수님과 열띤 토론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시차와 전날 심포지엄에서의 피곤함도 잊으시고 거의 2시간동안 발표자에서 날카로운 질문과 열띤 디스커션을 해주시는 모습에서 진정한 대가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미팅 후에 교수님께 발표자의 연구역량이 매우 뛰어나고 고년차 포닥 정도의 수준 높은 결과들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 결과가 기대된다고 귀뜸해 주셨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락을 통해 국제공동연구도 진행해 보자고 제안하셨습니다.
강연준 박사님이 2025년 한국연구재단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2025년 3월 1일 ~ 2030년 2월 28일, 130,000천원/년).
* 과제명: 대식세포에 의한 과당대사 유래 최종당화산물(AGEs)이 염증반응과 면역노화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규명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derived from fructose metabolism by macrophages on inflammatory responses and immune aging).
세종과학펠로우십은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핵심과학기술 인재로 성장‧정착할 수 있도록 펠로우십을 통한 연구 몰입 장려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과제로 전임교원이 아닌 연구자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규모의 연구비입니다.
5명의 평가위원 모두가 잘 구성된 내용으로 기대가 되는 과제라고 의견을 주었습니다. 이로써 5년간 간접비를 제외하고 대략 5억에 가까운 인건비 및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연구비 선정을 축하합니다!
의과대학 체육관(의과학과 4층)에서 개최된 "2025 의과학과 체육대회"에 우리 실험실의 최승아-김정원-이성주-박상은-박세희 학생이 참석하였습니다. 아쉽게도 송우림 학생은 중요한 실험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하였습니다. 청/홍팀으로 나뉘어서 경기를 진행하였는데 아쉽게도 우리가 속해 있는 홍팀이 지고 말았습니다 😥. 그렇지만 우리 실험실 구성원들, 의과학과 다른 학생과도 다 같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귀여운 네임택을 기념품으로 받았습니다 ~!~~
장지연 연구원과 김정원, 이성주 학생이 BD가 개최한 FACS Camp 에 2박 3일 일정으로 참석하였습니다. FACS 분석의 기초적인 지식에서부터 다중컬러 FACS panel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3일간의 집중적인 교육을 받고 복귀하였습니다.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여 얻은 지식이니 만큼 각자의 실험에 활용할 뿐 아니라 다른 실험실 구성원의 실험에도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김희영 박사님이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Impact Factor: 12.6) 저널에 만성신장질환자의 요독 물질, 특히 Indoxyl Sulfate에 의해 유도되는 만성 염증반응 및 심혈관계 동반질환 발생 기전을 trained immunity의 개념으로 확장하여 조망한 리뷰 논문을 발표하였습니다.
이 논문은 기존에 주로 PAMPs (Pathogen-Associated Molecular Patterns)에 의해 유도되는 trained immunity의 보호적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던 관점에서 벗어나, DAMPs (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및 LAMPs (Lifestyl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 등 비감염성 자극원에 의해 유도되는 trained immunity 가 오히려 병리적 염증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기전에 주목하였습니다. 특히 이 리뷰는 김 박사님이 2024년 eLife에 발표한 논문에서 제안한 trained immunity의 양면성, 즉 비감염성 자극에 의한 만성 염증질환 병인 기전에 대한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이를 만성신장질환과 심혈관계 합병증에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였습니다.
최근 trained immunity의 비감염성 질환에서의 역할이 학계에서 주목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리뷰는 극히 드문 상황에서 발표된 본 논문은, 향후 관련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참고 문헌으로 큰 관심과 인용이 기대됩니다.
6월 23일부터 35기 의과학과 학부 교육연구생 2명(구재연, 김태형 학생)이 실험실에 합류하였습니다. 이번에는 김정원, 이성주 대학원생이 분담을 하여 각자의 실험스케줄에 맞추어 학생 연구생을 8주간 지도할 예정입니다. 즐거운 연구생 생활이 되길 바랍니다.
지난 4월부터 미국 하버드대학 Dr. Chiu 연구실에서 공동연구를 수행중인 최승아 학생이 HMS-SNUH-SNUCM Trainee Workshop 에서 발표를 하였습니다. 발표는 무사히 잘 마쳤고, 많은 분들께서 격려도 많이 해 주셨다고 합니다.
우리 실험실이 서울대학교병원 원내연구과제 Track I 에 선정되었습니다.
김희영 박사님이 주도적으로 준비하셨고 현재 진행 중이신 연구를 좀 더 확장한 내용입니다. 추후 국가 과제를 준비하는데 seed 연구가 될 예정입니다. 축하합니다!
우리 실험실의 이성주 학생이 의과학과 대학원생 순환실습 프로그램에서 멘토로서의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하여 BK21 대학원생 봉사상 대상자로 결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교수님이 스페인 시체스에서 개최된 Cell Symposia (Metabolites: Organellar communication in health and disease; 2025.05.11-13)에 참석하셔서 강연준 박사의 Fructose-SLC2A5 관련 내용을 포스터 발표하셨습니다.
25년 4월 21일부터 김정원 선생님이 LAI의 신임 방장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교수님이 한경 Bio Insight의 초청을 받아 25년 4월호 '자가면역질환'의 커버스토리, '자가면역 질환은 왜 발생하는가'라는 제목으로 기고하셨습니다. <한경 바이오인사이트>는 한국경제신문이 발행하는 제약·바이오 월간 매거진으로 매월 150페이지 분량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최승아 학생이 서울대학교병원 특화연구소의 HMS-SNUH-SNUCM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을 진행하기 위하여 2년 여정으로 미국 연수를 떠났습니다. 본 연구는 하버드대학의 Issac Chiu 교수팀과 함께 "Determining the role of the microbiome in pain and neuroinflammation" 라는 주제로 진행합니다. 최승아 학생은 박사과정학생연구원을 파견(하버드 측 경비지원)되어 신경면역관련 최신실험 기술 및 지견을 배워올 예정입니다.
최승아 학생의 건승을 기원하며 항상 건강하기를 바랍니다!!
2025년 4월 6일~10일 일정으로 교수님의 포닥 시절 지도 교수님 이셨던 Jorg J. Goronzy 교수님이 내한하셨고 우리 실험실에도 방문하셔서 학생들과 의미있는 시간을 가지셨습니다. 면역노화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이신 Goronzy 교수님은 Mayo Clinic, Emory 대학, Stanford 대학에서 의과대학 교수 및 류마티스 내과 의사로서 활동하시다가 최근 Mayo Clinic 으로 다시 옮기셔서 연구를 이어가고 계십니다.
서울대학교 호암교수 회관에서 개최된 2025 International Symposium: Aging, Senescence and Immunity (4월 7일)에 초청 연자로 방문하셨지만 우리 실험실에도 방문하셔서 한나절동안 LAI 실험실 투어, 학생과의 식사, LAI 학생과의 개인미팅, 그리고 의과대학 교수 및 대학원생을 상대로 IIG 특볅 강연을 진행하셨습니다.
개인미팅에는 강연준 박사, 최승아, 송우림 학생이 최신 연구결과를 결과를 발표하였고 Goronzy 교수님과 열띤 토론의 시간을 가졌습니다. 시차와 전날 심포지엄에서의 피곤함도 잊으시고 거의 2시간동안 발표자에서 날카로운 질문과 열띤 디스커션을 해주시는 모습에서 진정한 대가의 모습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미팅 후에 교수님께 발표자의 연구역량이 매우 뛰어나고 고년차 포닥 정도의 수준 높은 결과들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 결과가 기대된다고 귀뜸해 주셨다고 합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락을 통해 국제공동연구도 진행해 보자고 제안하셨습니다.
송우림 학생이 서울대학교 본부 BK21 대학원 혁신사업단에서 선발하는 펠로우십에 선정되었습니다. 의과대학 BK21 참여 대학원생 중 한 학기에 단 2명만 선발되는 펠로우십으로 6개월간 000원(개인정보...)의 장학금을 지원받게 됩니다. 축하합니다.
25년의 첫 실험실 회식이 있었습니다. 그동안 축하할 일이 많았는데 모두 바쁘게 지내다 보니 이제야 모두 모여 기쁨을 나눌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송우림 학생의 방장 임기 시작(25년 2월부터) -> 우리 실험실을 위해서 봉사 부탁드립니다.
2. 강연준 박사의 세종과학펠로우십 수주(25년 3월부터) -> 전도유망한 신진연구자로 거듭하는 기회가 되실 바랍니다.
3. 최승아 학생의 미국 하버드대학 파견연수 시작(25년 4월 9일 출발, 4월 14일 첫 출근) -> 건강하고 성공적인 연수기간 되길 바랍니다.
4. 박세희 학생의 생일 -> 어쩌다 날짜가 겹쳐서 생일파티도 겸하였습니다. 개인정보라서 나이는 묻지 않고 초를 꽂았습니다.
대학로 마가리( Magari: 이탈리어로 "아마도" 라는 뜻이랍니다)에서 다양한 이탈리안 음식을 먹었습니다. 기대를 뛰어넘는 맛있는 음식에 모두 즐거운 회식시간을 보냈습니다. 오늘처럼 모든 구성원에게 항상 좋은 일이 가득하길 바랍니다.
강연준 박사님이 2025년 한국연구재단 세종과학펠로우십 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2025년 3월 1일 ~ 2030년 2월 28일, 130,000천원/년).
* 과제명: 대식세포에 의한 과당대사 유래 최종당화산물(AGEs)이 염증반응과 면역노화에 미치는 영향 및 기전 규명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derived from fructose metabolism by macrophages on inflammatory responses and immune aging).
세종과학펠로우십은 박사후연구원 등 젊은 과학자가 원하는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핵심과학기술 인재로 성장‧정착할 수 있도록 펠로우십을 통한 연구 몰입 장려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과제로 전임교원이 아닌 연구자가 받을 수 있는 최대 규모의 연구비입니다.
5명의 평가위원 모두가 잘 구성된 내용으로 기대가 되는 과제라고 의견을 주었습니다. 이로써 5년간 간접비를 제외하고 대략 5억에 가까운 인건비 및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연구비 선정을 축하합니다!
의과대학 체육관(의과학과 4층)에서 개최된 "2025 의과학과 체육대회"에 우리 실험실의 최승아-김정원-이성주-박상은-박세희 학생이 참석하였습니다. 아쉽게도 송우림 학생은 중요한 실험일정으로 참석하지 못하였습니다. 청/홍팀으로 나뉘어서 경기를 진행하였는데 아쉽게도 우리가 속해 있는 홍팀이 지고 말았습니다 😥. 그렇지만 우리 실험실 구성원들, 의과학과 다른 학생과도 다 같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왔습니다. 귀여운 네임택을 기념품으로 받았습니다 ~!~~